더블 딥, 트리플 딥
- ■ ECONOMY/● 경제이야기
- 2021. 3. 23.
Double Dip
더블딥 double dip recession
혹은 W자형 불황 W-shaped recession
✔ 경제가 불황으로부터 벗어나 짧은 기간의 성장을 기록한 뒤, 얼마 지나지 않고 다시 불황에 빠지는 현상
● 경기침체 이후 일시 경기 회복이 되었다 다시 경기침체가 되는 2중 경기침체를 뜻하는 단어
● W자형 경제구조 라고도 한다
● 대공황(1929~1941)과 2차 오일 쇼크(1979~1982)가 대표적인 더블딥 사례
크게보면 미국의 1980년대 초기의 불황이 더블딥의 전형적인 예시이다.
미국에서 1980년대 초반에 두 번의 불황이 일어났었다고 여긴다.
미국의 경제는 1980년 1월부터 7월까지 불황에 빠져 있었고, 그 후 빠른 성장을 기록했다. 1981년의 1분기에는 8.4%의 연간 성장율을 기록했다. 하지만 연방 준비 은행에서는 폴 볼커의 지시하에 인플레이션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로 이자율 상승을 선택했고, 그로 인해 1981년 7월부터 1982년 11월까지 미국 경제는 다시 불황에 빠지게 된다.
대공황(1929~1941)과 2차 오일 쇼크(1979~1982)가 대표적인 더블딥 사례인데 두 사건 이후 W자형의 경기침체가 일어나자 이러한 현상을 더블딥이라고 부르게 된게 시초다.
경제침체
경기침체 : 경제가 2분기 연속으로 마이너스 성장세를 보이는 경우를 뜻한다.
더블딥 :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세를 보이던 경기가 잠깐 회복된듯한 모습을 보이다가 곧바로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세에 돌입하는 상황을 뜻한다.
Triple Dip
이 더블딥에서 벗어날 듯 하다가 다시 침체를 보이면 트리플 딥이 된다.
'■ ECONOMY > ● 경제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쿠팡은 어떤기업인가 + 충격! 쿠팡 최저가의 비밀[스트레이트], 소비자 우롱 시스템, 이상한 약관 (1) | 2021.04.07 |
---|---|
연방준비제도 Federal Reserve System, 연방준비제도이사회(FRB), 연방공개시장위원회(FOMC) 바로 알기. 용어 정리 (0) | 2021.03.24 |
데드 캣 바운스 : 죽은 고양이 이론 (0) | 2021.03.23 |
미국 국채금리를 쉽게 이해하는 방법 : 세계경제를 흔드는 금리 (0) | 2021.03.10 |
광인이론 狂人理論 : 미치광이 전략 (0) | 2021.03.10 |